- Market Report more →
-
-
NAPHTHA
단위 USD/MT
-
-
2025년5월4주
560
-
2025년5월3주
565
-
- 국제유가는 미국·이란 핵협상 합의 기대로 인해 하락했다 16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전날 거래된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가격은 전일 대비 배럴당 1.53달러 하락한 61.62달러에, 북해산 브렌트(Brent)유는 전일 대비 배럴당 1.56달러 떨어진 64.53달러에, 중동산 두바이(Dubai)유는 전일 대비 배럴당 2.31달러 하락한 63.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란은 미국과의 합의 조건으로 경제 제재 해제를 요구하며, 고농축 우라늄 보유 포기 의사를 시사했다. 이란 최고지도자 하메네이의 보좌관 알리 샴카니는 N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제재를 즉각 해제할 경우 핵무기 개발의 영구 포기, 고농축 우라늄 폐기, 관련 시설에 대한 사찰 허용 등의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미국과 이란 간 핵협상이 진전을 보이자 중동 지역의 원유 공급이 확대될 것이란 전망에 유가가 하락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글로벌 수요 둔화 전망 또한 유가 하락에 영향을 끼쳤다. IEA는 25년 남은 기간 동안 글로벌 석유 수요 증가폭을 65만b/d(하루당배럴)로 전망했다. IEA는 2025년 1분기 증가폭을 99만b/d로 예상했으나, 65만b/d로 하향 조정했다. IEA는 무역 불확실성이 심화되면서 세계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이는 석유 수요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
ETHYLENE
단위 USD/MT
-
-
2025년5월4주
740
-
2025년5월3주
740
-
- 지난주 아시아 에틸렌 시장은 보합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하였다. 지난주 아시아 에틸렌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동일한 FOB 한국기준 740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중국내 시장은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이 지속되며 투자 심리도 위축된 상황이다. 미국 달러 기준 시장에서는 저가의 중국 위안화 공급이 시장에 부담을 주며, 전반적으로 정체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주 아시아 에틸렌 주요 시장은 하락세를 보였다. 미국 달러 시장에서는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공급 측에서는 일본과 한국의 크래킹 설비가 고부하로 운영되고 있어, 현재 동북아 지역에서 미국 달러 자원의 공급이 상대적으로 충분한 상황이다. 다음 주 에틸렌 시장은 국제 원유 가격 하락 가능성과 수급 불균형, 시장 심리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약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미·이란 간 긴장 완화와 글로벌 경기 및 수요 둔화가 지속되면서 원유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원재료 비용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중국의 폴리에틸렌 설비는 정상 가동으로 전환되고 북부 지역의 외부 판매 압박도 다소 완화되었으나, 주요 석유화학 업체의 정기점검 계획으로 인해 수요 위축 우려가 여전히 시장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PROPYLENE
단위 USD/MT
-
-
2025년5월4주
765
-
2025년5월3주
770
-
- 지난주 아시아 프로필렌 시장은 하락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하였다. 지난주 아시아 프로필렌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톤당 5달러 하락한 FOB 한국기준 770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지난 주 동안 프로필렌 산업 체인의 가격은 상승과 하락이 혼재된 흐름을 보였다. 시장관계자에 따르면 중국 시장의 경우 원료측면에서는 국제 원유 가격이 상승세를 나타냈는데, 이는 중국과 미국 간 경제·무역 회담 결과가 공식 발표되며 무역 분쟁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었고, 미국이 전략 비축유 보충 계획을 밝힌 것이 주요한 긍정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영향으로 최종 제품 가격도 동반 상승하는 양상을 띠었다. 특히 에폭시 프로판 제품의 가격 상승폭이 가장 두드러졌으며, 공급 측면에서는 일부 설비가 축소된 상태로 운영되면서 타이트한 공급 상황이 이어졌다. 주말 사이 주요 공장들이 선도적으로 가격 인상에 나섰고, 수요 측에서도 시장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구매 활동이 지속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현재 가동 중인 공장들은 무리 없이 생산을 이어가고 있으며, 제품 가격 제시가 소폭 상승하는 흐름을 이어가면서 전반적인 거래 분위기 역시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시장 관계자들은 이번 시장 흐름이 공급과 수요의 균형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고 전하며, 다음 주에는 공급과 수요 모두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따른 시장의 긴장감과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프로필렌 가격이 일시적으로 하락한 후 거래 심리가 개선되면서 가격 안정세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외부 현물 자원의 공급 가격이 약세를 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하락 추세가 일정 부분 지속될 수 있다는 신중한 관측도 있다. 한편, 한국 롯데의 연간 55만 톤 규모의 NCC 설비는 지난 4월 중순부터 가동을 중단한 상태이며, 오는 6월 중순경 재가동이 예정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EDC
단위 USD/MT
-
-
2025년5월4주
160
-
2025년5월3주
190
-
- 지난주 아시아 EDC 시장은 하락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하였다. 지난주 아시아 EDC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톤당 35달러 하락한 CFR 중국기준 190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한편 CFR 동남아시아 기준 오퍼 가격은 190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
VCM
단위 USD/MT
-
-
2025년5월4주
540
-
2025년5월3주
540
-
- 지난주 아시아 VCM 시장은 상승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하였다. 지난주 아시아 VCM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톤당 15달러 상승한 CFR 중국기준 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한편 CFR 동남아시아 기준 오퍼 가격은 565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
PVC
단위 USD/MT
-
-
2025년5월4주
710
-
2025년5월3주
700
-
- 지난주 아시아 PVC 시장은 보합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하였다. 지난주 아시아 PVC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동일한 CFR 중국기준 700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중국 내수시장을 살펴보면 에틸렌 베이스 PVC는 전 주 대비 톤당 40위안 상승한 5025위안 / 카바이드 베이스 PVC는 동일한 4745위안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남아시아 시장의 경우 전 주 대비 동일한 CFR 인도기준 톤당 695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한편 CFR 동남아시아 기준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동일한 670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이번 주 중국내 PVC 수요는 전반적으로 뚜렷한 회복세 없이 보합세를 유지했으며, 우기 도래와 함께 계절적 비수기에 진입함에 따라 향후 수요는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종별로는 바닥재 등 연질 제품을 중심으로 일부 가동률이 회복되었으나, 관·창호 등 경질 제품 수요는 여전히 부진한 상황으로 전체적인 수요 개선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부동산 및 인프라 부문의 약세가 지속되며 중국내수 회복을 제약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부 제조업체들은 수출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최근 중국의 대미 관세 완화 조치로 인해 수출 문의와 주문 납품이 활발해지는 양상이 포착되며, 수출이 단기 수요를 일부 견인할 가능성은 있으나 내수 기반의 근본적인 회복은 여전히 어려운 국면이다 이번 주 아시아 PVC 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가격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며, 뚜렷한 상승 또는 하락요인 없이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인도에서 진행 중인 PVC 반덤핑 관세 조사 결과가 아직 공식 발표되지 않으면서, 관련 무역업체들은 불확실성 해소를 기다리며 관망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동시에 인도 국내의 수요는 뚜렷한 회복세 없이 평이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곧 시작될 우기로 인해 건설 및 농업 등 주요 산업의 수요가 점진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계절적 요인과 정책 변수의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향후 인도 및 아시아 전반의 PVC 수요는 단기적으로 다소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
2-EH
단위 USD/MT
-
-
2025년5월4주
975
-
2025년5월3주
985
-
- 지난주 아시아 2-EH 시장은 상승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하였다. 지난주 아시아 2-EH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톤당 35달러 상승한 CFR 중국기준 985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한편 CFR 동남아시아 기준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톤당 35달러 상승한 1065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지난주 아시아 2-EH 가격은 5월 15일 기준 수년간 최저치에서 반등했다. 이는 미-중 간 무역 낙관론이 하류 및 상류 수요를 모두 자극했기 때문이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중단 발표 이후, 수요 급증으로 인해 공급이 빠듯해졌으며, 이는 그 동안 대기하던 구매자들이 재고 확보로 전환한 결과라고 시장 관계자들은 전했다. 중국 생산자에 따르면 고객들은 90일 관세 유예기간 동안 재고를 다시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중국 고객들의 문의도 공급이 빠듯하다는 인식에 따라 증가했다고 한다.
-
PA
단위 USD/MT
-
-
2025년5월4주
945
-
2025년5월3주
950
-
- 지난주 아시아 PA 시장은 보합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하였다. 지난주 아시아 PA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동일한 CFR 중국기준 950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한편 CFR 동남아시아 기준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동일한 960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
DOP
단위 USD/MT
-
-
2025년5월4주
1,130
-
2025년5월3주
1,130
-
- 지난주 아시아 DOP 시장은 보합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하였다. 지난주 아시아 DOP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동일한 CFR 중국기준 1130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한편 CFR 동남아시아 기준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동일한 1140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현재 DOP 시장은 전반적으로 약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주요 원료인 헥실알콜(辛醇)은 여전히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으나, 시장 내 수요가 뒷받침되지 않아 추가 구매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DOP 가격도 하락 압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시장 내 DOP 재고는 충분한 상태이며, 많은 구매자들이 이미 재고 보충을 완료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로 인해 단기간 내 수요 회복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이며, 시장 소화에도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아울러 원료 시장에서도 하락 조짐이 나타나고 있고, 시장을 자극할 만한 긍정적인 요인이 부족한 상황이므로, DOP 가격은 당분간 약세를 유지하거나 추가 하락 가능성도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HDPE
단위 USD/MT
-
-
2025년5월4주
850
-
2025년5월3주
845
-
- 지난주 아시아 HDPE 시장은 하락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하였다. HDPE FILM 시장을 살펴보면 전 주 대비 톤당 15달러 하락한 845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남아시아 시장의 경우 전 주 대비 동일한 885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한편 CFR 동남아시아 기준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동일한 895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지난주 아시아 HDPE YARN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톤당 5달러 하락한 CFR 중국기준 880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한편 CFR 동남아시아 기준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동일한 920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원료 측에서는 유가와 석탄 가격 하락 가능성으로 원가 압박이 완화될 것으로 보이며, 폴리에틸렌(PE) 최종 산업의 가동률은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일부 수출 기업들의 주문 상황이 개선되고 장기 계약 납품이 연장되어 생산량도 소폭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종합적으로, 국제 유가의 안정적 상승, 무역분쟁의 완화등의 거시적 긍정적 요인들이 시장 심리를 개선시킬 것으로 보이며, 가격은 크지 않은 범위 내에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
LDPE
단위 USD/MT
-
-
2025년5월4주
1,020
-
2025년5월3주
1,015
-
- 지난주 아시아 LDPE 시장은 하락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하였다. 지난주 아시아 LDPE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톤당 25달러 하락한 CFR 중국기준 1015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한편 CFR 동남아시아 기준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동일한 1125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이번 주 동남아시아 시장의 대부분 가격은 주간 내내 안정세를 보였다.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중미(중국-미국) 간 세금 혜택 소식이 전해진 후 시장 분위기가 개선되었고, 구매 활동이 늘었다. 그러나 가격 제시와 입찰이 적어 가격은 변동 없이 안정세를 유지했다. 남아시아 시장에서는 무역 정상화가 향후 며칠 간 가격 상승 추세를 이끌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 시장 수요가 약세를 보이며, 수입 제시가 적고 거래 가능한 수량이 감소하여 가격은 주간 내내 안정세를 보였다
-
LLDPE
단위 USD/MT
-
-
2025년5월4주
860
-
2025년5월3주
845
-
- 지난주 아시아 LLDPE 시장은 하락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하였다. 지난주 아시아 LLDPE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톤당 25달러 하락한 CFR 중국기준 845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남아시아 시장의 경우 전 주 대비 동일한 915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한편 CFR 동남아시아 기준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동일한 950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다음 주를 전망하면, 중국 본토의 공급 상황은 비교적 여유로워 보이며, 연해 지역의 도착 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재고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전통적인 수요는 다소 미진하고, 수익성 약화가 구매 의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가격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어려운 상황을 나타낸다 다음 주 원료 시장의 동향을 보면, 유가 기반과 석탄 기반 모두 원가 지원이 약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원료 가격의 상승과 하락은 각기 다른 종류의 폴리에틸렌 제품들의 비용 상승과 이익 감소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원료 가격 변동을 면밀히 주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PP
단위 USD/MT
-
-
2025년5월4주
880
-
2025년5월3주
870
-
- 지난주 아시아 PP 시장은 하락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하였다. 지난주 아시아 PP 오퍼 가격은 전 주 대비 톤당 10달러 하락한 CFR 중국기준 870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한편 CFR 동남아시아 기준 오퍼 가격은 910달러에 가격을 형성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중국내에서는 중미일 3국의 공동 성명이 발표되면서 관세 문제는 일시적으로 보류되었고, 원유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PP 가격도 신중하게 상승을 따랐습니다. 동남아시아 시장은 주간 동안 전반적인 시장 가격이 떨어지는 추세를 보였다. 세금 보류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남아있으며, 최종 제품 주문의 회복도 미미한 상태였습니다. 이에 따라 현지 공급업체들이 재고를 줄이기 위해 가격을 인하하며 시장 가격이 다시 하락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남아시아에서는 가격이 안정세를 보였고, 최종 수요가 온화하게 회복되면서 시장 내 거래가 증가했다. 생산업체들이 재고를 줄이기 위해 가격을 내리면서 재고 압력이 완화되었고, 이에 따라 시장 가격은 바닥을 찍고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
- Market Report more →
-



전주 대비 변동